[집테크 04] 버팀목 vs 서울시 이자지원 차이점

버팀목과 서울시 이자지원은 대상·소득·금리 조건이 다릅니다.
신혼부부 상황에 맞는 전세대출 상품을 비교해보세요. 🏠

1. 버팀목 vs 서울시 이자지원, 어떤 걸 골라야 할까?

서울 평균 전세가격은 약 5억 6천만원, 수도권은 4억 4천만원, 전국 평균도 3억원을 넘습니다.
결혼을 앞두거나 막 결혼한 신혼부부에게 전세자금 대출은 큰 고민입니다.
대표적인 두 가지 지원제도인 신혼부부 버팀목전세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이자지원사업은 조건과 혜택이 달라 비교가 필요합니다.

2. 버팀목 vs 서울시 이자지원, 항목별 핵심 비교

아래 표는 두 제도의 주요 항목을 나란히 비교한 것입니다.
자격 요건부터 대출 한도, 금리,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확인해보세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과 서울시 이자지원 정책의 조건 및 차이점 비교 인포그래픽

① 자격 요건

항목 신혼부부 버팀목전세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이자지원사업
대상 지역 전국 서울시 거주 또는 전입 예정자
혼인 요건 혼인 7년 이내 또는 6개월 이내 결혼 예정 동일
연소득 기준 부부합산 7,500만원 이하 부부합산 1억 3천만원 이하
자산 기준 순자산 3.37억원 이하 없음

② 대출 조건 및 금리

항목 신혼부부 버팀목전세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이자지원사업
대출한도 수도권 3억원 / 비수도권 2억원 서울시 3억원
보증금 비율 전세금의 80% 이내 전세금의 90% 이내
대상 주택 수도권 4억원 / 비수도권 3억원 서울시 7억원
이용 기간 최대 10~20년
[(기본 2년, 4회 연장)+(1자녀 당 2년 추가)]
최대 10년
[(기본 2년, 1회 연장)+(1자녀 당 2년 추가)]
금리 구조 연 2.5~3.5%
(부부합산 소득 및 임차보증금에 따라 차등 적용)
COFIX(6개월) + 1.45%
(소득과 자녀 수 기준으로 최대 4.5%까지 이자 지원)
실제 부담 금리 최저 연 1.0%
(기초수급·다자녀 등 우대금리 적용 시)
최저 연 1.0%
(이자지원 후 실부담금리가 1.0% 미만이면, 1.0%로 고정 적용)

③ 신청 정보

항목 신혼부부 버팀목전세대출 서울시 신혼부부 이자지원사업
신청 횟수 중복 가능 생애 1회만 지원
보증 방식 HUG/HF 보증서, 채권양도 가능 HF 보증서 기반
신청 방법 기금e든든에서 신청
(수탁은행: 우리, 국민, 하나, NH농협, 신한, 대구, 부산은행)
수탁은행 방문 후 대출 실행
잔금일 또는 전입일 기준 3개월 이내 신청
서울주거포털에서 신청
(협약은행: 국민, 하나, 신한은행)
협약은행 방문 후 대출 실행
입주일 또는 전입일 기준 3개월 이내 신청
💡 사례 1: 경기 수원 거주 맞벌이 신혼부부

– 부부합산 연소득: 6,500만원, 자녀 1명

– 전세금: 3억 7천만원, 수도권 빌라 계약 예정
버팀목 금리우대: 2억 9,600만원
대출 외 필요자금: 7,400만원

💡 사례 2: 서울 거주 맞벌이 신혼부부

– 부부합산 연소득: 9,800만원, 첫아이 출산 예정

– 전세금: 5억 9천만원, 서울 아파트 계약 예정
서울시 이자지원: 3억원
대출 외 필요자금: 2억 9천만원

3. 버팀목 vs 서울시 이자지원, 나에게 맞는 선택은?

전세대출 제도는 조건에 따라 혜택이 크게 달라집니다.
소득과 자산이 비교적 낮고 수도권 또는 비수도권 지역이라면 신혼부부 버팀목전세대출이,
서울에 거주하며 소득이 비교적 높은 경우에는 서울시 이자지원사업이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자녀가 생기면 금리 우대나 이자지원 기간 연장 등 추가 혜택도 받을 수 있으므로,
미래 계획까지 고려해 자신에게 가장 유리한 제도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내 상황에 맞는 전세대출, 지금 확인해보세요

* 조건에 따라 지원 가능 여부와 혜택이 다를 수 있으니 꼭 확인 후 신청하세요.

error: Content is protected !!